01 요실금 진단
요실금의 진단을 위해서는 소변검사, 혈액 검사 등의 기본적인 신체검사를 시작으로 환자가 느끼는 증상과 병력 문진,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보기 위한 요역동학검 사, 회음부 및 방광 초음파검사 등을 실시합니다. 추가로 요속검사, 패드검사, Q-tip 검사를 시행합니다.
02 요실금 종류
1. 복압성 요실금
요실금의 80-90%가 복압성 요실금으로 대개는 분만경험이 있는 중년이상의 여성 분들에게 흔히 발생하며, 심지어 한번만 자연분만을 경험한 젊은 여성분이나, 제왕절개 분만하신 분에게서도 복압성 요실금이 생길 수 있습니다.
- 원인 출산 또는 분만 후에 방광과 요도를 탄탄하게 지지해주는 골반근육이 약해지고, 골반이 이완되어 방광과
요도가 아래로 처지면서 발생 또는 소변을 새지 않게 막아주는 요도 괄약근이 약화되면서 발생합니다.
- 증상 재채기 또는 웃을 때,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올 때, 줄넘기나 에어로빅을 할 때 등 배에 힘을 주는 상황에서
소변이 새는 것
2. 절박성 요실금
전체 요실금의 20-30% 정도가 절박성 요실금 으로 중년 여성뿐만 아니라 결혼하 지 않은 미혼 여성이나 학생들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요실금입니다.
뇌질환이나 척수손상,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근육이 갑자기 수축하는 것이 원인으로 약물치료나 물리치료가 주된 치료법이지만 최근에는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
경우 수술적 방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- 증상 평소에 소변을 자주 보고, 갑자기 소변이 마려우면 참기가 어렵고, 밤에 자는 도중에도 일어나서 화장실을
가거나, 화장실에 가는 도중에 참지 못하고 찔끔하 기도 합니다.
3. 일류성 요실금
요실금의 80-90%가 복압성 요실금으로 대개는 분만경험이 있는 중년이상의 여성 분들에게 흔히 발생하며, 심지어 한번만 자연분만을 경험한 젊은 여성분이나, 제왕절개 분만하신 분에게서도 복압성 요실금이 생길 수 있습니다.
- 증상 변을 보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, 보고 난 후에도 개운치 않으며, 본인의 의지와 상관 없이 소변이 조금씩
새거나, 소변이 찼음에도 모르고 있다가 소변이 새는 경우를 말 합니다.
4. 혼합성 요실금
원인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요실금을 혼합성 요실금이라 합니다. 예를 들어 복압성 요실금이 있는 여성의 30%의 경우 절박성 요실금이 함께 나타납니다.
이런경우 수 술후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.
- 증상 변이 마려우면 참기가 힘들고, 등 배에 힘을 주는 상황에서 소변이 새는 증상이 나타납니다.
이 외에도
신경학적 이상에 의한 신경병적 요실금(neuropathic incontinence), 선천적인 기형으로 인한
선천성 요실금 (congenital incontinence),
사고 또는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의인성 요실금(iatrogenic
incontinence) 등이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