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전검사

01 산전검사란?

임신한 산모 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검사를 말하며, 보통 임신초기에 심박 등을 확인하면 6주에서 8주 사이에 산전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. 산모는 산전검사를 통해 산모의 건강과 아이의 발육상태 및 건강, 기형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의사에게 임신 중 의문 사항을 질문하며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들으며 분만에 대한 준비를 해 나가게 됩니다.

02 산전검사의 종류

임신초기검사 : 초음파검사, 자궁경부 액상세포검사, 소변검사, 빈혈검사, 매독, 에이즈, 간기능검사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신장기능검사, 갑상선자극호르몬, 풍진항체, B형간염검사, 혈액형검사
쿼드기형아검사 : AFP, hCG, uE3, Dimeric Inhibin-A

검사 종류 임신 초기검사
초음파
빈혈검사 / 혈액검사
갑상선검사 / 간기능검사
소변검사 / 신장검사
당검사
풍진항체검사
A형간염항체검사
B형간염항체검사
매독 검사
에이즈 검사
액상자궁경부암검사

03 임신시기에 따른 검진 간격

1~2개월 (4~8주) : 태아 심장박동 확인까지 1~2주 간격으로 초음파 확인필요 6~8주에 심박동 확인이 가능함

2~3개월 (8~11주) : 분만 예정일이 부정확한 경우, 예정일 결정에 중요한 시기 1~2주 간격으로 내원 필요함

2~8개월 (8주~32주) : 예정일이 결정되고 기본적인 산전검사를 받으셨다면 매달 내원 필요함

8~9개월 (32~36주) : 2주 간격으로 내원이 필요함

9~10개월 (36~40주) : 매주 내원하셔야 합니다.

04 임신 시기에 따른 검사항목

내원하실 때마다 초음파로 태아 검사를 합니다

임신개월 검사항목 및 내용 비고
1~2개월 (4~8주) 기본적인 산전검사 : 빈혈검사, 혈액형검사,
혈청(성병)검사, 간기능검사,
간염검사, 소변검사
빈혈 유무에 따라 철분 보충제를
복용하게 됩니다, 또한 산모가 Rh(-)이면
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임신을
유지할 수 있습니다
2~3개월 (8~11주) 풍진검사 임신초반 풍진 감염시 거의 100%
태아에 나쁜 영향을 줍니다
3~5개월 (11~19주) 초음파로 정확한 분만일정일 결정 생리가 불규칙한 경우
초음파가 더 정확합니다
4~5월 (16~19주) 기형아검사
태아 태반검사, 트리플 마커 검사
정신지체증인 다운증후군, 염색체 이상인
애드워드 증후군,태아 척주 이상과 무뇌증
등을 산모의 혈액을 통하여 검사합니다
이 시기에 꼭 받으셔야만 정확한
검사가 됩니다
6~7개월 (24~28주) 임신성 당요검사
(당50mg 1시간 부하 검사)
임신성 당뇨의 진단과 치료뿐만 아니라
앞으로 당뇨가 생길 수 있는 체질을 가진
산모를 미리 진단합니다

필요한 경우 염색체 검사 (융모검사, 양수검사)를 실시합니다.
    혈액을 이용한 검사로는 염색체 이상을 정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임신 10주~12주에는 융모검사로,
    임신 15주~18주에는 양수검사로 확정적인 진단을 하게 됩니다.

개인정보처리방침 | 이메일주소수집거부